진주, 에메랄드의 감별법보관방법 




1] 양식 진주는 다 가짜일까 ? 



양식진주양식진주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통 되는 진주는 거의 양식 진주에 의존합니다. 


양식 진주란 조개속에 인의적으로 핵이라는 물질을 삽입시켜 진주를 만듭니다.


다들 알다시피 조개는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몸속에 침입한 이물질을 부드러운 탄산칼슘 성분으로 감싸는데 이것을 진주 라고 합니다. 


진주의 중요 생산국은 페르시아만, 인도 남쪽의 마나만, 호주 북쪽 해안, 베네즈엘라, 캘리포니아만, 그리고 국내 대부분의 진주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일본 등 이 있습니다. 


천연 진주란 인위적으로 핵을 조개에 삽입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생성된 진주를 말하며 상당한 고가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양식 진주가 가짜라고 말할 수는 없는 겁니다. ~~~



2] 진주는 눈물을 상징 한다 ......



정말로 잘못된 상식 입니다... 어떤 집에선 결혼 예물로 진주는 배제 시키는데 (시집가서 눈물 흘린다)....진주가 눈물이라는 말은 잘못된 것입니다. 


진주는 행복, 인내 등을 상징 하고 있는 보석 입니다. 



에메랄드에메랄드


3] 에메랄드 표면에 균열이 있는데 가짜 아니야 ? ...



다른 보석과는 달리 에메랄드는 균열이 많이 발달해 있습니다..

물론 약해서 쉽게 부서지기도 하구요 ..


그래서 인지 발물림(세공 하시는 분들이 보석을 금에 접합 하는 일)을 할때 가장 잘 개지는 것도 에메랄드 이기에 항상 조심성을 가지고 취급해야 합니다. 


균열이 발달해 있다는 것은 진짜 보석임이 틀림 없다는 구별이 될수도 있겠지만, 미관상 또는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 입니다. 


그래서 그것을 은폐 하기 위해 기름이나 왁스, 플라스틱과 같은 물질을 사용합니다. 


특히 기름에다 녹색 염료를 섞은 후 에메랄드의 균열속에 침투 시키면 보석의 색깔 뿐만 아니라 투명도도 좋아지는데, 이러한 작업을 전문적인 용어로 "오일링" 이라 부르며 현재 시중에서 판매 되는 대부분의 에메랄드가 이러한 "오일링" 작업을 한 것 입니다. 


그러므로 에메랄드의 균열이 있다는 것은 가짜가 아니라는 공식이 성립 됩니다. 



4] 백금을 화이트골드 라고 부른다 ? ....


백금백금



백금과 화이트 골드는 엄연히 구별되어야 합니다...


어떤 분들은 화이트 골드를 백금으로 잘못 알고 계시는데 화이트 골드는 백색금이라고 부르며, 금에다 팔라듐과 니켈을 혼합하여 만드는 백색의 금입니다. 


가장 쉽게 백금과 화이트 골드를 구별하는 방법은 품위 표시법에 의해 반지 안쪽에 금의 함량을 표시 하게 되는데 , 여기서 백금은 PT(예로 PT 900 이라 표시되어 있으면 백금 함량이 90%라는 의미) , 


화이트 골드는 White Gold 의 약자인 WG를 먼저 쓰고 금 함량을 K로 표시합니다. (예 : WG 18K 또는 WG750 - 금 함량이 75%인 화이트 골드) 


그래서 PT로 표시되어 있으면 백금, WG로 표시되어 있으면 화이트 골드 라고 이해 하시면 될 겁니다. ^^ 



5] 18K 나 14K 의 금은 누런 색이 날수록 좋은 금을 섞은 것이다...



18K , 14K, 10K18K , 14K, 10K



금은 매우 유연한 물질이므로 제품을 견고 하게 가공 할수가 없습니다. 

그 예로 순금에 보석을 박는 일은 극히 빠져 잊어버릴 위험을 감수 하겠다는 것이죠 ...(순금에 보석을 박아달래도 귀금속샵에선 안해줍니다.)


따라서 견고히 만들기 위해 다른 재료를 넣어 합금을 만드는데, 금에 은을 추가하여 합금 시키면 그 혼합물은 녹색 계통을 띠게 되고 이를 청금 이라고 하며, 구리를 섞으면 적색이 나서 적금이라 부르고, 은과 구리를 함께 섞으면 노란색을 띠게 되는데 이를 황금 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색에 따라 금의 순도를 판별하기 보다는 귀금속 제품에 각인되어 있는 금의 함량 품위 표시를 참고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


            함유량(친분율)                             표 시 법 


            금 : 99.9%                                24K 순금 또는 999 금


            금 : 91.6%                                 22K  또는 916 금


            금 : 83.3%                                 20K   또는 833 금


            금 : 75.0%                                 18K   또는 750 금 


            금 : 58.5%                                 14K   또는 585 금 


            금 : 50.0%                                 12K   또는 500 금 


            금 : 41.6%                                 10K   또는 416 금 


            금: 37.5%                                   9K    또는 375 금 


            금 : 33.3%                                  8K    또는 333 금 

----------------------------------------------------------------------------------



6] 다이야 몬드도 인공적으로 만들수 있어요 ? ...


다이야몬드다이야몬드


다이야 몬드도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제조법을 설명 하자면 (눈이 갑자기 커지는 분도 ㅎㅎㅎ)


우선 다이야몬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파이로필라이트"라는 도가니가 있어야 합니다. 


그 도가니의 온도를 약 1880도, 압력은 70,000 기압이 되도록 조절하고, 이 장치속에 다이야몬드 분말을 채우고 동시에 다이야몬드로 만든 종결정을 넣어 주면.... 그러면 일주일에 약 5mm로 성장 하게 되는데 ......


그러나 ...................

불행히도 현재에는 동질의 천연 다이야몬드 보다 이렇게 만드는 합성 다이야몬드 제조 비용이 적어도 2배 이상 든다는 게 함정입니다......


그래서 첨단 제품용으로만 다이야 몬드를 합성 하고 있을 뿐 입니다. 


그럼 다음에 시간이 된다면 금에 대해서도 올려볼게요 ^^